최근 지속된 한파에도 불구하고 얼어있는 땅을 뚫고 봄소식을 전하는 전령사가 있다. 입춘(立春)인 2월 3일(월), 서울 홍릉숲의 복수초가 노란 꽃잎을 활짝 피우며 다가오는 봄의 시작을 알렸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노란 복수초
평년보다 2주 빠른 개화
올해 처음 모습을 드러낸 ‘홍릉숲 복수초’는 평년(1991 ∼ 2020) 개화일인 2월 18일에 비해 약 2주 가까이 빠르게 개화한 것으로, 1985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열 번째로 빠른 개화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생물계절조사팀의 홍릉숲 복수초 개화 특성 분석 결과, 평균 개화 시기가 예전에 비해 점차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이전(1985 ∼ 1999) 홍릉숲 복수초의 평균 개화일은 2월 28일±9일이었지만, 2000년 이후(2000 ∼ 2024)에는 2월 9일±18일로 약 19일 정도 앞당겨졌다.
또한, 2015년부터 2025년까지의 평균 개화일은 1월 23일±12일로 과거보다 한 달 이상 빨라졌다.
개화 시기가 빠른 이유
복수초는 이른 아침에는 꽃잎을 닫고 있다가 해가 뜬 후,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사이에 꽃잎을 펼치기 때문에 만개한 모습을 관찰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또한 복수초는 개화 직전 20일간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10년간 복수초는 0℃ 이상의 일 평균 누적 기온이 21.8±9.6℃ 이상 되면 개화하였다.
올해 1월 평균기온은 평년 기온보다 1.5℃ 높아 개화 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분석된다.
봄의 전령사, 복수초 (福壽草)
복수초의 의미
복수초(福壽草)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른 봄에 피어나는 대표적인 야생화 중 하나로 희망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한다.
복수초라는 이름은 행복(福)과 장수(壽)를 가져다 주는 꽃이라는 의미가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이 꽃은 뿌리에 독성 성분이 있어 함부로 먹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복수초의 다른 이름
- 얼음새꽃 : 눈과 얼음 사이에서 피어나는 모습에서 붙여진 이름
- 눈색이꽃 : 눈 속에 피어 꽃 주변의 눈을 녹이는 모습에서 유래
- 원일초 : 음역 1일 1일(설날)에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복수초 '꽃말'의 유래
- 동양 : 영원한 행복
- 서양 : 슬픈 추억
동양에서의 복수초는 복과 장수를 누리다라는 의미가 때문에 '영원한 행복이라는 꽃말을 가지게 되었다.
반면 서양에서는 복수초의 영어 이름 'Adonis'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청년 아도니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도니스는 사람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았지만, 사냥 도중 멧돼지에게 물리 죽음을 맞이했다. 아프로디테는 아도니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의 피가 흐른 곳에서 꽃이 피어나게 했는데, 이 꽃이 바로 복수초라고 전해진다.
이러한 전설 때문에 서양에서는 복수초가 '슬픈 추억'이라는 꽃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활짝 핀 황금빛 복수초가 봄의 시작을 알리는 반가운 소식을 전하기 시작했다.
(출처:산림청)
'또다른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이글스 신 구장 '대전한화생명볼파크', 2025 KBO 시범경기 일정 (0) | 2025.02.06 |
---|---|
tvN 유퀴즈 '가수 황가람의 인생역전', '나는 반딧불이' 만난 사연 (17) | 2025.02.06 |
무주 덕유산 설천봉 '상제루 쉼터', 화재 전 풍경 (29) | 2025.02.02 |
설날 연휴 폭설 그친 후 겨울 풍경, 일렬로 늘어 선 병아리 눈 사람들 (0) | 2025.01.31 |
파리바게트 생일 케이크 추천 메뉴, 우유가득 생크림케이크 (17) | 2025.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