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위기 극복 방안, 여러분의 생각
2023년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올해에도 0.6명대 전망이 제기되는 등 그간에 저출산 극복을 위해 추진한 정책효과가 낮았다는 비판이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저출산 위기 극복 방안으로 파격적인 지원 필요성에 관하여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국민 소통 창구인「국민생각함」에서 지난 17일부터 시작하였으며 26일까지 진행 예정이다.
* <국민생각함> https://www.epeople.go.kr/idea
설문에는 ▴최근 사기업의 지원 사례와 같이 1억 원의 출산·양육지원금을 직접 지원하는 것이 출산에 동기부여가 되는지 ▴이에 따른 재정 투입에 동의하는지 ▴출산·양육지원금 지급을 위해 다른 유사한 목적의 예산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의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설문에 참여한 5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도 지급한다.
국민신문고(국민생각함) 설문조사
□ 설문조사 개요
○ (참여 기간) 2024. 4. 17.(수) ∼ 4. 26.(금)
○ (주제)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한 출산지원금 지원에 관하여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 설문 내역
Q1> 최근 사기업의 출산지원금 1억 원 지원 사례와 같이, 정부도 출산한 산모(또는 출생아)에게 파격적 현금*을 직접 지원해 준다면 아이를 적극적으로 낳게 하는 동기부여가 될지 여부에 대해 귀하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Ex) 1자녀 : 1억 원, 2자녀 : 2억 원, 3자녀 이상 : 3억 원
Q2> 산모(또는 출생아)에게 현금 1억 원을 직접 지급할 경우, 국가는 2023년 출생아 수 기준(잠정치 : 23만 명)으로 연간 약 23조 원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귀하는 정부가 이 정도 규모의 재정을 투입해도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Q3> 산모(또는 출생아)에게 현금 1억 원 직접 지원하기 위한 예산 확보를 위해 지역소멸대응 등 다른 유사 목적에 사용되는 예산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Q4> 위 항목 이외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디어가 있으신 경우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선택)
(출처:국민권익위원회)
'또다른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 25일 개막 (33) | 2024.04.23 |
---|---|
국립중앙과학관 스포츠과학 특별전, 승리공식 사이언스 (0) | 2024.04.23 |
'오래 기다렸구나', 황매화 따라 활짝 핀 죽도화(겹황매화) (58) | 2024.04.16 |
봄비 흠뻑 젖은 민들레씨, 내일은 날 수 있을까 (0) | 2024.04.15 |
"어디로 갈 거니?", 민들레 씨의 마지막 비행 (42) | 2024.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