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보호법」제94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동물 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및 반려동물 영업 현황 등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를 매년 조사·발표한다. 2023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2023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
1. 동물등록 현황
2023년 개·고양이 신규등록은 지난해(30만 3천 마리)보다 10.4% 감소한 27만 1천 마리이나, 누적 등록 개체수는 지난해(305만 4천 마리)보다 7.6% 증가한 328만 6천 마리가 되었다.
- 개·고양이 등록
- (신규): (‘21) 51만 마리 → (‘22) 30.3 → (‘23) 27.1(전년 대비 10.4% 감소)
- (누적): (’21) 278.3만 마리 → (‘22) 305.4 → (‘23) 328.6(전년 대비 7.6% 증가)
고양이 등록은 자율적인 선택임에도 동물 유실 방지 등을 위해 신규 등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양이 등록
- (신규): (’21) 9천 마리 → (‘22) 1만 1천 → (‘23) 1만 3천
의무 등록 대상인 개(犬)는 과거에 목걸이형 등 탈착이 쉬운 외장형이 선호되었으나 무선식별장치를 체내에 삽입하는 내장형이 꾸준히 증가하여 외장형과 내장형의 격차*가 크게 감소하였다.
- (‘23) 외장형 등록(신규): 13만 2천 마리, 내장형 12만 5천 마리 (차이 7천 마리)
- 외장형/내장형 비율: (`21) 54.5%/45.5(차이 9.0) → (`22) 53.8/46.2(7.6) → (`23) 51.4/48.6(2.8)
소유자 구성
2023년 신규로 동물 등록한 여성(60.9%)이 남성(38.9%)의 약 1.6배이며, 연령별로 40대 소유자가 25.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0대(22.1%), 20대(22.0%), 50대(16.2%) 순으로 나타났다.
- 성비·연령대 기준 소유자 형태 : 1위 女 40대, 2위 女 20대, 3위 女 30대
- 남성 소유자 중 연령대 비교 : 30대> 40대> 20대
2. 동물구조 및 동물보호센터 현황
구조
유실·유기동물의 발견 신고 및 구조는 감소 추세로 2023년은 전년보다 0.3% 감소한 11만 3천 마리를 구조하였다.
- 구조 현황: (’21) 11.83만 마리 → (‘22) 11.34 → (‘23) 11.31
- 축종별 (개) 80,467마리, (고양이) 30,889마리, (토끼, 햄스터 등 기타) 1,716마리
그 중 4만 4천 마리(39.2%)는 소유자에게 반환되거나 입양·기증되었고, 3만 1천 마리(27.6%)는 자연사, 2만 마리(18.0%)는 인도적 처리되었으며, 1만 5천 마리(13.3%)는 지자체의 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되고 있었다.
2023년 구조동물의 입양 개체수는 신규 등록 감소와 함께 전년(3만 1천 마리)보다 12.3% 줄어든 2만 7천 마리로 감소하였으나, 2023년 신규 등록 대비 입양 비율은 10.1%로 2022년(10.3%)과 유사하며 2021년(7.4%)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입양 개체수: (`21) 3.8만 마리 → (`22) 3.1 → (`23) 2.7
- 신규 등록 대비 입양 비율: (`21) 7.4% → (`22) 10.3 → (`23) 10.1
동물보호센터
동물의 구조·보호를 위해 지자체가 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는 2023년 228개소로 전년(239개소) 대비 11개소 감소하였으나,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센터는 7개소가 증가하였고 종사 인력과 운영비도 전년대비 각각 10.1%, 26.8% 증가하는 등 동물의 구조·보호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
- 종사 인력 : (`21) 933명 → (`22) 893 → (`23) 984
- 운영비 : (`21) 297억원 → (`22) 295 → (`23) 374
지자체가 직접 설치·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는 71개소이고, 동물병원, 동물보호단체 등 자체 시설에 운영을 위탁한 곳이 152개소, 지자체 시설을 이용하여 민간기관에 운영을 위탁한 곳이 5개소였다.
고양이 중성화
지자체가 도심지나 주택가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여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은 전년(10만 4천 마리)보다 16.4% 증가한 12만 2천 마리에 대해 시행되었다.
- 중성화 개체수: (`21) 8.4만 마리 → (`22) 10.4 → (`23) 12.2
3. 반려동물 관련 영업 운영
영업자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총8종)은 전년(2만 2천 개소)보다 6.8% 감소한 20,575개소로 나타났다.
- 영업장(개소) : ('21) 20,685→ ('22) 22,076→ ('23) 20,575(전년대비 –1,501개소, △6.8%↓)
- 종사자 (명) : ('21) 24,863→ ('22) 26,093→ ('23) 25,506(전년대비 –587명, △2.2%↓)
동물 미용업이 8,404개소(40.8%)로 가장 많았고, 위탁관리업 4,820개소(23.4%), 판매업 3,154개소(15.3%), 생산업 2,011개소(9.8%), 운송업 1,477개소(7.2%), 전시업 541개소(2.6%), 수입업 94개소(0.5%), 장묘업 74개소(0.4%)가 허가·등록되었다.
종사자
- 종사인원은 각각 미용업 9,414명(36.9%), 위탁관리업 6,115명(24.0%), 판매업 3,904명(15.3%), 생산업 3,136명(12.3%), 운송업 1,669명(6.5%), 전시업 739명(2.9%), 장묘업 340명(1.3%), 수입업 189명(0.7%) 순
그 중 동물 장묘업과 운송업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장묘업이 많이 허가된 지역은 경기도(27개소), 경상남도(9), 경상북도(7) 순이며 장묘시설이 없는 지역은 서울시·대전시·제주도이었다.
- 동물 장묘업: (`19) 44개소 → (`20) 57 → (`21) 63 → (`22) 68→ (`23) 74
- 동물 운송업: (`19) 459개소 → (`20) 656 → (`21) 794 → (`22) 1,313 → (`23) 1,477
◈ 동물장묘업체는 전국에 74개소가 설치되어 있음
- 제공 서비스 : 장례 72개소, 화장 68개소, 봉안 66개소, 건조장 4개소
- 지역별 설치내역 : 경기(27), 경남(9), 경북(7), 전북(6), 충북(5), 충남(4), 강원, 부산, 전남(3) 등
- 동물 장묘시설이 없는 지역(3) : 서울, 대전, 제주
4. (명예) 동물보호관 운영
동물보호관
또한 지자체는 동물 학대 대응 등 동물보호 업무를 위해 동물보호관 765명을 지정하고 「동물보호법」 위반행위 1,146건을 적발하였다.
- 인원(명): ('21) 759→ ('22) 774*→ ('23) 765
주요 위반사항은 반려견과 외출할 때, 목줄 착용, 인식표 부착 등 위반이 732건(63.9%)으로 가장 많았고, 반려견 미등록은 81건(7.1%)으로 나타났다.
명예동물보호관
- 총 644명이 지자체로부터 위촉되어 교육홍보 활동 등 4,068건 활동
- (실적) 교육·홍보 상담이 2,358건, 보호관 직무 수행지원이 1,285건, 피학대 동물 구조보호가 332건, 동물 학대행위 신고 정보 제공이 93건 순
(출처:농림축산식품부)
'또다른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통신사선, 부산-시모노세키 평화의 뱃길 (25) | 2024.07.30 |
---|---|
계룡산 동학사, 수통골, 동월, 갑사, 신원사 계곡 물놀이 허용된 곳 (27) | 2024.07.29 |
파리·런던 스타 한식당, ‘케이(K)-미쉐린’ 3곳 (36) | 2024.07.23 |
‘밸류업’ 대신 쉬운 우리말 ‘가치 향상’, 2024년 상반기 다듬은 우리말 1위 (37) | 2024.07.22 |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받은 49개소 (26) | 2024.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