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공무원 처우개선 내용을 담은 「공무원 보수규정」 및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살펴본다.
저연차공무원 봉급 추가 인상
공무원 보수를 3.0% 인상하며, 상대적으로 처우 수준이 낮은 저연차 실무 공무원에 대한 처우는 추가로 개선한다.
9급 초임(1호봉) 봉급액을 전년 대비 6.6% 인상하는 등 7~9급(상당) 일부 저연차 공무원의 봉급을 추가로 인상한다.
▷ 9급 초임(1호봉) 공무원
이를 통해 9급 초임 봉급은 처음으로 200만 원을 넘게 된다.
- 9급 초임(1호봉) 봉급인상률 6.6% = 공통인상분 3.0% + 추가인상분 3.6%
이러한 추가 처우개선을 반영한 2025년 9급 초임(1호봉) 보수(봉급+수당)는 연 3,222만원(월 평균 269만원) 수준으로, 2024년(연 3,010만원) 대비 7%(+연 212만원)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 분 | 보수연액 | 보수월액(월 평균) |
’22년 | 2,690만원 | 224만원 |
’23년 | 2,831만원 | 236만원(+5.2%) |
’24년 | 3,010만원 | 251만원(+6.3%) |
’25년 | 3,222만원 | 269만원(+7.1%) |
- 보수는 봉급 및 공통수당(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명절휴가비, 정근수당(가산금) 등) 포함
또한, 저출생 관련 지원 및 자녀 양육 여건을 개선한다.
현재 매월 최대 150만 원까지 지급되는 육아휴직수당을 최대 250만 원까지 지급가능하도록 상한액을 대폭 인상해 1년에 최대 500만원 이상 육아휴직수당을 더 받을 수 있게 개선한다.
아울러 부모 모두의 육아휴직 사용을 장려하고 안정적인 육아 환경 마련을 위해 부모가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하거나, 한부모 가족・장애아동의 부모인 경우, 육아휴직수당 지급기간을 현행 12개월에서 18개월로 확대한다.
그 외, 경찰·소방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위험근무수당을 인상하고(월 6만원→7만원), 민원담당 공무원 보호 및 사기진작을 위해 민원업무수당 가산금을 신설(월 3만원)해 현장 공무원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출처:인사혁신처)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매일 걷고 현금 받기, 걸어서 마라톤 완주하기 (20) | 2025.01.03 |
---|---|
'지자체 맞춤형 K-패스' 혜택, 경기·인천·부산·세종·광주·경남 지역 (0) | 2025.01.02 |
국세청 홈택스, 1월 쉽고 친절한 지능형으로 개편 (0) | 2024.12.30 |
전국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우리 동네는 얼마일까 (0) | 2024.12.26 |
일상 생활 속 작은 실천 탄소중립포인트제, 혜택(인센티브) 지급 항목 (34) | 2024.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