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일상 생활 속 작은 실천 탄소중립포인트제, 혜택(인센티브) 지급 항목

by 워~워~ 2024. 12. 24.
728x90
반응형

일상 속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활동 시 현금처럼 사용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는 ‘탄소중립포인트제(녹색생활 실천분야)’를 소개한다.

 

다회용컵
다회용 컵

 

'탄소중립포인트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작은 발걸음

 

탄소중립 실천문화 확산을 위하여 에너지 사용량(2009.7~)·자동차 주행거리(2020.1~) 감축, 녹색생활 실천활동(‘22. 1~) 실적에 대한 포인트 지급

 

‘탄소중립포인트제’는 2009년 에너지 분야(전기·수도·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에서 ‘탄소포인트제’라는 이름으로 시작했고 2020년에 자동차 분야(주행거리 감축)를 추가했다.

 

2022년에는 녹색생활 실천분야(전자영수증 발급, 텀블러 이용 등)를 추가하였으며, 2023년부터는 명칭을 ‘탄소중립포인트제’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2년 1월에 시작한 ‘탄소중립포인트제(녹색생활 실천분야)’는 도입 첫해 26만 명이 가입했으며, 올해는 약 7배 늘어난 180만 명(누적)이 가입했다. 관련 혜택(포인트) 지급예산도 2022년 24.5억 원에서 올해 148억 원으로 늘어났으며, 3년간 총 262억여 원이 포인트로 지급됐다.

반응형

분야별 혜택(인센티브) 지급 항목

 

녹색생활 실천분야 탄소중립포인트제 참여가 대폭 확대된 것은 혜택(인센티브) 지급항목을 2022년 6개 항목에서 2023년에는 10개 항목으로 늘리고, 올해 모바일 앱(카본페이)을 출시한 것이 영향을 주었다.

 

ㅇ 녹색생활 실천분야(연간 최대 7만원)

실천항목 구분 포인트 산정금액 실천항목 구분 포인트 산정금액
1. 전자영수증 발급 100원/건 6. 무공해차 대여 100원/km
2. 텀블러·다회용컵 이용 300원/개 7. 친환경제품 구매 1,000원/건
3. 일회용컵 반환 200원/개 8.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 100원/kg
4. 리필스테이션 이용 2,000원/회 9. 폐휴대폰 반납 1,000원/개
5. 다회용기 이용 1,000원/회 10. 미래세대실천행동 기후행동1.5℃ 운영계획에 따름

 

기존 전자영주증 발급 등 6개 항목에 관심도가 높은 다회용컵(텀블러) 이용  4개 항목이 더해지면서 참여가 확대되었다.

- 텀블러 이용(300원/개), 일회용컵 반환(200원/개),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100원/kg), 폐휴대폰 반납(1,000원/개)

 

ㅇ 에너지(전기·수도·가스 절감) 분야(가구당 1명 참여, 연간 최대 10만원)

감 축 률 전기 수도 도시가스
5% 이상 ~ 10% 미만 5,000 포인트 750 포인트 3,000 포인트
10%이상 ~ 15% 미만 10,000 포인트 1,500 포인트 6,000 포인트
15% 이상 15,000 포인트 2,000 포인트 8,000 포인트

 

ㅇ 자동차(주행거리 감축) 분야(연간 최대 10만원)

구 분 인센티브 산정기준
감축률(%) 0초과~10미만 10~20미만 20~30미만 30~40미만 40이상
감축량(km) 0초과~1천미만 1~2천미만 2~3천미만 3~4천미만 4천이상
금액(만원) 2 4 6 8 10

 

참고로 ‘탄소중립포인트제’는 10개 실천항목 실천 시 1인당 연간 최대 7만원을 지급(현금, 포인트, 모바일 페이 등)하고 있으며, 소상공인의 경우 다회용컵(텀블러) 및 다회용기 이용 실적에 따라 점주에게도 연간 최대 15만 원까지 지급하고 있다.

 

'카본페이(Carbon pay)', 모바일 앱 주요 기능

  • 탄소중립포인트제 3개 분야, 통합회원 가입, 실적 및 포인트 조회
  • 탄소중립포인트제 녹색생활 실천 분야, 참여기업 매장 찾기
  • 손쉬운 탄소 중립포인트 참여, QR을 활용한 실시간 실적 수집

 

특히, 올해 9월에 모바일 앱인 ‘카본페이’를 출시하여, 그 간 웹페이지 기반으로만 이용할 수 있었던 제도를 모바일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 및 이용 편의성을 대폭 개선했다.

 

또한, 네이버, 카카오 등 민간 플랫폼과 연계하여 간편 로그인 서비스를 도입하고, 사용자 위치기반 주변 매장 찾기 기능도 제공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공영자전거 이용과 잔반제로 실천’ 항목 추가

 

환경부는 내년에 참여자를 더욱 확대하고 청년세대의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공영자전거 이용’과 ‘잔반제로 실천’ 항목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며,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비산업분야 탄소중립에 기여할 예정이다.

(출처:환경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