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또다른일상

사랑하지만 만날 수 없는 운명, 2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선정된 ‘상사화속 식물'

by 워~워~ 2025. 2. 7.
728x90
반응형
728x170

예년과 달리 대설과 한파가 많이 발생하는 2월, 국립수목원에서 우리의 정원식물로 선정된 ‘상사화속(Lycoris) 식물을 소개한다.  

 

위도-상사화
위도 상사화

잎이 사그라진 후 올라오는 꽃대, 상사화속 식물

너와 나는 만날 수 없는 운명

너무 사랑하지만 만날 수 없는 운명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상사화속 식물은 이름처럼 대부분 잎과 꽃이 만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봄부터 여름까지 잎이 나와 영양생장을 하다가 늦여름에 잎이 사그라지고 나면 꽃대가 올라와 늦여름에서 가을에 개화한다.

 

위도-상사화
위도 상사화

 

두 가지 매력을 느껴 봄

우리나라 자생하는 토종 상사화속흰상사화, 위도상사화, 백양꽃, 제주상사화, 붉노랑상사화진노랑상사화가 있다.

 

- 상사화 꽃말

  • 하얀색 : 순수함, 새로운 시작
  • 분홍색 : 사랑, 열정, 로맨스
  • 빨간색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반응형

2월에 구근을 구해서 심으면, 3월에 싱그러운 새싹을 볼 수 있다. 잎은 8월에 지고, 9월에 꽃이 피는 생활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사화속 식물은 봄과 초여름에 싱싱한 잎을 감상하고,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화려한 꽃을 감상할 수 있는 두 가지 매력을 지닌 식물이다.

 

이렇게 매력적인 상사화속 식물은 현재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위도상사화를 주제로 매년 늦여름 전북 부안군에서 큰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위도-상사화
위도 상사화

 

순백의 위도상사화는 서해안에서 자생하는 토종 상사화속으로 8월말과 9월초에 활짝 피며, 작년에도 만개시기에 맞춰 축제가 열렸다.

 

- 제9회 고슴도치섬, 위도상사화축제

  • 기간 : 2024.8.31.(토) - 9.1.(일)
  • 장소 : 위도해수욕장 공연장(위도상사화 군락지)

 

상사화속 식물이 좋아하는 곳

초가을 정원을 화사하게 물들이는 상사화속 식물은 반음지 식물로 관목 옆 그늘에 심어주면 잘 자란다.

 

봄부터 여름까지 영양생장 기간에 충분히 영양분을 섭취해야 가을에 꽃대가 건강하게 올라오며, 광이 너무 강하거나, 건조하면 스트레스로 인해 꽃대가 올라오지 않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자생 상사화속 식물은 대부분 영양번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꽃이 피는 시기를 제외하고 구근의 인편을 잘라서 모래에 심으면 새로운 구근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출처:산림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