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전여행명소8 벌과 나비 춤추는 가을 여행, 대전 한밭수목원 산책로에서 만난 꽃 가을꽃의 대명사인 국화꽃을 만나기엔 아직 더 기다려야 한다. 꽃 구경하기는 좀 어려운 시기에 한밭수목으로 가는 길다. 파란 하늘 하얀 구름꽃 핀 대전예술의 전당 앞 지나 서원 들어서니 대전예술의 전당 앞을 지나고 있다. 축제와 공연이 많은 시월, 광장 앞에 공연을 알리는 현수막이 가을 바람에 펄럭인다. 푸른 하늘은 높을 대로 높아 보이고 그 가운데 예쁘게 핀 하얀 뭉게구름 꽃 흘러간다. 소나무원 붉은 꽃무릇 무리 사시사철 푸은 서원 대나무원 앞에 붉은 꽃무릇(석산)이 절정을 지났다. 몇 송이 피어있는 모습에 아쉬움이 었었는데, 소나무원 굵은 나무 아래 꽃무릇 무리지어 폈다. 대나무나 소나무는 사계절 푸른 빛을 잃지 않고 변함이 없는 공통점이 있는데, 꽃무릇은 대나무보다는 소나무와 궁합이 맞는 것일까... 2024. 10. 6. 숲 속 숨은 문화재 탐방, 대전 유성 수운교 도솔천 대전 금병산 기슭에 넓은 자운대가 자리 잡았다. 자운대를 병풍처럼 감싸고 있는 깊숙한 산 바로 아래 수운교 도솔천을 포함한 여러 문화재가 위치한다. 오늘은 도솔천 주변을 한 바퀴 둘러본다. 수운교 천단, 도솔천 가는 길 - 위치 : 대전 유성구 자운로 245번길 80(추목동 403-1) - 휴일 : 연중 무휴 - 입장료 : 무료 - 주차장 : 무료 만나 볼 수 있는 문화재 - 도솔천, 시 유형문화재 제28호 - 석종, 문화재자료 제13호 - 종각, 등록문화재 제335호 - 수운교본부 사무실, 등록문화재 제334호 - 법회당, 등록문화재 제 333호 - 용호당, 등록문화재 제332호 - 봉령각 등록문화재 제331호 울창한 소나무 숲길, 솔밭공원 자운대네거리에서 탄동천을 따라 들어서면 자운대이다. 넓은 직선.. 2024. 2. 15. 도시숲 여행길, 대덕사이언스길 2코스, 바람이 선선하게 부는 가을날 오후, 산책하기 딱 어울리는 시간이다. 시내에 위치하여 접근성도 좋은 대덕사이언스길 2코스를 걸어본다. 이동구간 난이도는 쉬운 코스지만, 전체거리가 10㎞여서 일부를 걸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중앙과학관, 대전시민천문대, 충대도서관, 유성구청 등 2코스를 경유하는 지점에 시내버스도 자주 다녀서 교통도 편리하다. 오늘은 국립중앙과학관 정문을 출발하여 한 바퀴를 돌아서 다시 출발지점에 도착했다. 대덕사이언스길 2코스 신성,성두산길 - 이동거리 : 10㎞ - 소요시간 : 3시간 20분 - 이동구간(원점회귀 순환코스) 국립중앙과학관 - 성두산공원(구성동산성) - 대전과학고입구 – 연구단지운동장 – 대전시민천문대 – 신성공원 – 충남대중앙도서관 – 궁동공원 – 유성구청 – 국립중앙과.. 2023. 10. 22. 과거와 현재가 어우러진 우암사적공원, 남간정사와 덕포루 선비의 숨결이 느껴지는 곳, 우암사적공원 -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가양동) - 대중교통 : 103, 105, 106, 311, 613, 620번 - 입장료 및 운영시간 : 무료/연중 무휴 - 이용시간 하절기, 3~10월 05:00~21:00 동절기, 11~2월 06:00~21:00 남간정사, 10:00~17:00 가양동의 나지막한 야산 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는 우암사적공원, 잠시 눈을 돌려 역사의 한 자락을 들여다본다. 우암사적공원은 조선 후가 대유학자인 우암 송시열 선생이 학문을 닦던 곳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장판각, 전시과느 서원 등 16동의 건물을 복원해 사적공원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공원 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나 시내버스 311번이 가장 편리하다. .. 2023. 9. 23.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