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0시에 안성-구리 고속도로를 개통한다. 안성시 남안성 분기점에서 구리시 남구리 나들목까지 총 연장 72.2km의 왕복 6차로 도로로 사업비는 총 7조 4,367억 원이 투입된 고속도로를 소개한다.
안성에서 구리까지 30분대, 빠르고 안전한 미래형 고속도로
안성-구리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서울과 위례 ‧ 동탄2 등 수도권 주요 신도시까지의 이동이 크게 개선되고, 기존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의 상습 교통 정체 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의 주요 배후 교통망으로서 물류비 절감 등을 통해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및 수도권 동남부권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통으로 경기 안성시(남안성분기점)에서 구리시 토평동(남구리나들목)까지 주행거리는 약 19.8㎞ 감소(92.0㎞→72.2㎞)하고, 이동시간은 약 49분 단축(88분→39분)될 것으로 예상된다.
① 국내 최초 제한속도 120km/h
남안성 분기점에서 용인 분기점 구간(31.1km)은 국내 최초로 제한속도 120km/h를 도입하여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 구간에 배수성 포장을 시공하여 강우 시 도로 미끄럼을 줄이고, 음파센서 기술을 통한 도로 평탄성 개선으로,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토록 하였다.
② 더욱 안전한 도로
전구간 배수성 포장 시공
- 포장 투수율이 높아 신속히 배수
- 수막현상, 결빙 등 방지로 미끄럼 저항성 우수(10∼20% ↑)
첨단기술 활용 노면 평탄성 개선
- 최신 포장장비 적용(Big Multiple SKI)
- 포장면 높이 자동 조정 → 평탄성 향상
- (기존) 인력조정 → (개선) 음파센서
또한, 도로 내 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스마트 교통관제 시스템과 사물인터넷 기반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입하여 미래형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③ 최첨단 미래형 도로
ㅇ 스마트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
- 최초 全 구간 IoT 무선통신망 설치
- 대용량 데이터 및 영상 수집‧전송
→ 휴게소 주차정보, 가로등 자동제어 등
ㅇ 레이더 활용 실시간 차량 자동감지
- 1km 간격 레이더 설치
→ 전구간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
- 非 매설 방식으로 포장파손 관리 유리
안성-구리 고속도로 특징 2가지
주요 시설물로는 세계 최장경간 콘크리트 사장교(경간장 540m)인 한강횡단 고덕토평대교와 국내 최장 3차로 터널(연장 8,345m)인 남한산성 터널이 있으며,
- 경간장 540m : 교량의 교각과 교각 사이의 최대거리를 말하며, 콘크리트 형식의 사장교로는 세계 최장
특히, 남한산성 터널은 전 구간에 화재 탐지센서와 자동 물분무 설비를 설치하여 화재 시에도 신속하고 안전한 초기 대응이 가능토록 하였다.
① 국내 최장 3차로 초장대터널 남한산성터널
ㅇ 국내 최장
- 국내 최장 대단면 초장대터널(3차로, 8,345m)
- 現 3차로 최장터널 : 수도권2순환선 인천북항터널(5.6km)
ㅇ 경 관
- 남한산성의 역사와 유래를 간직한 경관 터널
ㅇ 방재 강화
- 전 구간 화재탐지센서 설치, 피난연결통로 강화 설치
② 세계 최장 경간 콘크리트사장교 고덕토평대교
ㅇ 세계 최장
- 콘크리트 사장교 주경간 540m, 세계 1위
- 경간의 의미 : 세종 생애 54년을 넘어 영원히 남은 업적을 기념
ㅇ 기술강화
- 세계 최대 케이블 강도(2,16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80MPa)
ㅇ방재 강화
- 내진설계 강화(재현주기 2,400년), 화재·낙뢰 피뢰침 등
다만, 공사 과정에서 설계가 변경되거나 실시협약체결에 기간이 소요된 남용인 나들목과 고삼호수 휴게소는 금번 개통에서는 제외되었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전광표지(VMS), 내비게이션(길도우미), 도로안내표지 등을 통해 대체 이용시설 및 추후 개통계획 등을 지속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 (고삼호수휴게소) 임시 휴게소로 운영 후 2025년10월 완공
- (남용인IC) 2025년12월 개통
(출처:국토교통부)
댓글